반갑습니다. CLOSER입니다. 거리에서 예쁜 커플을 보거나 드라마나 영화로 멋진 남녀를 보면 흔히 선남선녀라고 얘기를 합니다. 오늘 만나볼 사자성어는 바로 선남선녀. 과연 정말 그러한 뜻이 맞는지, 그리고 어떻게 한자로 구성되어있는지 한번 확인해봅시다! 착할 선(善)은 양 양(羊)과 눈 목(目)자가 결합한 회의문자입니다. 예로부터 양은 선하고 이로운 동물의 상징이었죠. 그래서 양의 눈처럼 사람이 참 '선하다', '착하다'라고 하여 지금의 착할 선(善)이 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사슴 같은 눈망울이라는 표현을 종종 쓰죠? 그렇게 연상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사내 남(男)은 밭에서 농기구를 사용하여 밭을 갈구는 남자의 모습을 본뜬 한자입니다. 밭 전(田)과 힘력(力)이 결합한 회의문자이기도 합니다. 보통..
반갑습니다. CLOSER입니다. 오늘의 깜짝 퀴즈!! 양육강식? 약육강식? 둘 중 정답은 무엇일까요?? 정답은…. 약육강식입니다! 많은 분이 헷갈리셨을 것 같아요~! 물론 인터넷에 검색해보면 연관 검색어로 바로 찾을 수 있겠지만, 친구랑 대화를 나눌 때 갑자기 생각이 안 나오면 당황스럽잖아요! ㅋㅋㅋㅋ 오늘 그 의미와 어떤 한자로 구성되어 있는지 보고 확실하게 기억해 둡시다!! 약할 약(弱)은 팽팽하던 활(弓)이 오랫동안 사용하여 낡아 느슨해진 모습에서 비롯된 한자입니다. 약함의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서 하나를 더 추가했다고 보시면 좋을 것 같네요~처음 위엄있던 활 궁(弓)의 모습도 기억해주세요! 고기 육(肉)은 살코기의 모양을 그대로 본뜬 글자입니다. 직관적으로 영상을 통해 이해되면 좋지만, 그래도 이해..
반갑습니다. CLOSER입니다. 괄목상대라고 들어 보셨나요? 오늘 만나볼 사자성어는 어떤 의미가 있고,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를 살펴봅시다! 긁을 괄(刮)은 동물의 긴 혀를 나타내는 혀 설(舌)과 칼의 모양을 본뜬 칼 도(刀)가 만난 합성어입니다. 성경에 나오는 아담과 이브 이야기를 아시나요? 간사한 뱀의 꾐에 속아 넘어가 인간이 죄를 짓게 되었다는 이야기입니다. 따라서 긁을 괄은 '간사한 뱀의 혀는 칼로 도려내야 한다'고 해석할 수 있겠어요! '도려내다', '깎다'의 의미에서 현재는 '긁다', '비비다'로 더 잘 알려진 한자입니다. 눈 목(目)은 눈동자의 모양을 본뜬 한자입니다. 따로 부가적인 설명 없이도 영상만으로 충분한 설명이 될 거로 생각합니다~! 서로 상(相)은 나무가 잘 자라날 수 있도록 옆에서 ..
우리가 역지사지의 마음으로 상대방을 바라본다면 분명 세상은 지금보다 더 밝아질 거예요~ 그렇다면 역지사지가 무엇인지 하나씩 알아가 봅시다!! 처음 만나볼 한자는 바꿀 역 혹은 쉬울 이(易)입니다. 易에 대한 해석이 여럿 있는데요! 먼저 해 일(日)과 말 물(勿)로 이루어졌고, 해는 날(day)을 의미하기도 하죠! 勿은 기본적으로 '말아라', '아니하다'란 뜻이 있어요. 그래서 '날이 저물지 마라', '날을 바꾸지 마라'고 해서 바꿀 역으로 쓰이고, 혹은 날이 저무는 건 쉽죠? 시간이 흐르면 자연적으로 저무니깐요. 그래서 '날이 저무는 것은 쉬운 일이다'고 해석하기도 합니다. 중요하니깐 두 가지 뜻을 모두 기억해두세요.^^ 다음 땅 지(地)는 부동산 개념이 없었던 시절 자기 물건을 먼저 올려놓으면 그 땅은..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이다! 많이 들어본 말 같아요!! 백전백승은 한자를 잘 몰라도 유추할 수 있는데 지피지기는..? 피? 불을 지핀다? 뭐지??! 뭘까요?ㅋㅋㅋ 자 지금부터 저 CLOSER와 함께 한자를 하나씩 파헤쳐보도록 해요~~! 먼저 보실 한자는 알 지(知)입니다. 화살 시(矢)와 입 구(口)가 만난 합성어입니다. 전쟁이 잦았던 시대를 상상해봅시다! 적의 화살이 어디서 날아오는지 '알려주다' 혹은 '알고 있다'로 해석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자신의 목숨을 지킬 수 있는 것보다 중요한 지식이 있을까요?ㅎㅎ 저 피(彼)는 조금 걸을 척(彳)과 가죽 피(皮)가 만난 합성어입니다. 彳는 바깥, 외곽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어서 직관적으로 해석하면, 바깥쪽의 가죽 정도로 해석할 수 있어요! 하지만 오늘날 그 의미..
반갑습니다~ 여러분과 가까이 소통하고 싶은 CLOSER입니다! 오늘 가지고 온 한자성어는 새옹지마입니다. 인생사는 새옹지마라는 말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것 같아요! 친숙한 사자성어지만 그 뜻과 활용, 그리고 사자성어를 이루고 있는 한자를 확실하게 짚고 넘어가 볼게요 ~~ ^^ 최대한 이해를 돕도록 영상을 만들었지만 부족한 부분이 많죠? ㅎㅎ.. 저도 퀄리티있는 영상을 올리고 싶은데, 그림에 재주가 없어서 큰 일이네요ㅠㅡㅠ 그래도 최대한 특징을 잘 살려 이해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서두가 길었네용 ~~ ^^ 처음 만나보실 한자는 변방 새(塞)입니다. 벽돌을 양손으로 쌓아 집의 벽을 막는 모양(𡨄)과 흙 토(土)가 만난 합성어입니다. '막다', '쌓다'의 의미가 있지만 흙 토(土)가 오면서 '변..